ETF

ISA 중개형 서민형 어떤 차이가 있을까? 장단점 조건 완벽 비교!

2zip 2025. 2. 26. 18:39
반응형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다양한 금융 상품을 한 계좌에서 운용할 수 있는 절세 혜택 계좌입니다. ISA에는 중개형과 서민형이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ISA 중개형과 서민형 차이점

 

ISA 계좌는 크게 중개형과 서민형으로 나뉘며, 투자 방식과 대상이 다릅니다.

 

1) ISA 중개형이란?

 

증권사 및 은행에서 계좌를 개설할 수 있으며, 직접 투자자가 운용할 수 있는 계좌입니다. 상장 주식과 펀드, ETF 등에 투자할 수 있으며, 연간 최대 2천만 원까지 납입 가능한데 200만 원에 대해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의무 가입기간이 3년 있습니다.

 

2) ISA 서민형이란?

 

ISA 서민형 계좌는 근로/사업 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사람들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연소득 5,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또는 3,800만 원 이하 사업소득자가 개설할 수 있지요.

중개형 일반 계좌보다 비과세 한도가 많은데요. 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즉, 두 계좌의 가장 큰 차이점은 비과세 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ISA 중개형 VS 서민형 장단점 비교

 

 

 

ISA 서민형으로 가입하면 더 높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직접 투자도 가능하기 때문에 소득 조건이 맞는 분들은 일반형보다는 서민형으로 가입하여 절세 혜택을 누려보세요!

 

ISA 서민형 전환 방법

 

ISA 일반형 계좌를 보유한 경우에도, 서민형 기준을 충족하면 ISA 서민형으로 전환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요. 

 

1) ISA 서민형 전환 조건

 

- 가입 시점 또는 연장 시점의 직전년도 소득이 서민형 기준에 부합해야 함

- 소득확인증명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가입용) 제출 필요

- 전환은 계좌 가입 연도와 만기 연장 시점에만 가능

 

 

 

 

 

2) ISA 서민형 전환 절차

 

비대면 전환 불가하기 때문에, 필요 서류를 지참하여 직접 은행이나 증권사로 방문해야 합니다. 금융사에서 서류 검토 후 계좌 전환을 진행해줍니다. 

 

이상, ISA 중개형 서민형 차이점을 알아봤는데요. 결국 가장 중요한건 비과세 혜택입니다. 소득 조건이 맞는 분들은 ISA 계좌 서민형으로 진행하시는 게 훨씬 유리합니다. 

 

참고로, ISA 계좌에서는 해외 ETF도 투자할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미국 ETF 투자를 하고 있는데요. 어떤 종목이 인기 있는지 참고하셔서 현명한 자산 관리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