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ETF 괴리율이란? ETF 투자할 때 꼭 알아야 할 것!

2zip 2025. 2. 21. 15:26
반응형

 

ETF(상장지수펀드)는 기초지수를 따라 움직이지만, 항상 같은 가격으로 거래되는 것은 아닙니다. 때때로 ETF의 시장 가격이 기준가(NAV)와 차이가 나는데, 이를 괴리율이라고 합니다.

괴리율이 크면 ETF의 가격이 왜곡될 수 있어 매매 타이밍을 잘못 잡으면 손실을 볼 위험이 있는데요. 특히 레버리지 ETF나 해외 ETF의 경우 괴리율이 더욱 커질 수 있기 때문에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ETF 괴리율이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괴리율을 활용한 투자 전략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ETF 괴리율이란?

 

 

ETF의 가격은 이론적으로 기준가(NAV, Net Asset Value)와 동일해야 합니다. 하지만 실제 시장에서는 ETF의 거래 가격이 기준가보다 높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는데요. 이를 괴리율(%)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 괴리율 공식


예를 들어, ETF의 기준가(NAV)가 10,000원인데 시장 가격이 10,500원이라면, 괴리율은 +5%가 됩니다. 반대로 시장 가격이 9,500원이라면 -5%입니다.

 

 

 

 

 

ETF 괴리율이 발생하는 이유는?

 

괴리율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수급의 불균형.

ETF를 사려고 하는 투자자가 많으면 가격이 기준가보다 높아지고, 매도자가 많으면 가격이 기준가 보다 낮아집니다. 이에 따라 괴리율이 발생하고요.

 

둘째, 해외 ETF와 환율 변동이 영향을 미칩니다.

해외 ETF는 국내 증시가 열릴 때 해외 시장이 닫혀 있는 경우가 많은데, 환율 변동이 반영되지 않아 괴리율이 크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셋째, 레버리지/인버스 ETF의 구조적인 특징때문입니다.

2배, 3배 레버리지 ETF는 장기적으로 기초지수와 괴리율이 커질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ETF 운용 방식의 특성 때문입니다.

 

넷째, 유동성 문제

거래량이 적은 ETF는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커져 괴리율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ETF 괴리율을 활용한 투자 전략

 

괴리율을 잘 활용하면 ETF를 더 유리한 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1) 괴리율이 플러스(고평가)일 때

 

ETF가 기준가보다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 말은 곧, 수요가 많아서 가격이 올랐다는 걸 의미하죠.

이럴 때는 단기 조정이 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신규 매수는 신중히 하는 게 좋습니다.

만약 보유하고 있는 종목이라면, 차익 실현(매도)을 고려해볼 수도 있습니다. 특히, 레버리지나 인버스 ETF는 괴리율이 더 크게 벌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더 촘촘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2) 괴리율이 마이너스(저평가)일 때

 

반대로, ETF가 기준가보다 더 저렴하게 거래되고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건 시장에서 ETF의 인기가 덜하거나, 일시적으로 가격이 낮아졌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ETF 가격은 결국 기준가로 수렴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저점 매수 기회로도 활용할 수 있겠죠. 

하지만 괴리율이 계속 마이너스를 유지하고 있는 종목이라면, 이건 단순한 가격 변동이 아니라 유동성 문제나 시장의 구조적인 문제 때문일 수 있으니 매수에 주의하는 게 좋습니다.

 

📌 결론적으로, 괴리율이 낮다고 무조건 매수하라는 말이 아니라, 가치 평가를 하는 참고 기준으로 보는 게 좋다는 말입니다.

 

ETF 괴리율 확인하는 방법은?

 

ETF 괴리율 체크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거래소(KRX)에서 확인하기
1️⃣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접속
2️⃣ ETF 개별 종목 검색 후 괴리율(%) 항목 확인

✔ 증권사 HTS/MTS에서 확인하기
1️⃣ 투자하려는 ETF 검색
2️⃣ 기준가(NAV) 및 괴리율(%) 확인

 

이상, ETF 괴리율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ETF 투자는 개별 주식보다는 좀 더 안정적이고 보수적으로 접근하면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좋은 수단입니다. 그러나 무턱대고 아무 종목이나 사면 안되겠죠! 꼭 본인의 투자 기준을 갖고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